지금 보신 카톡내용은 전형적인 메신져 피싱의 사기 수법인데요.
이런 피해가 최근에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새로운 범죄는 아닙니다.
예전에 네이트온, MS 메신져가 많이 사용되었을 때도 이런 수법이 유행했었는데요.
이 범죄가 요즘 사람들이 많이 쓰는 카카오톡 등으로 활동장소를 바꾼 것입니다.
최근에는 메신저 자체 해킹 없이 피해자 지인의 이름, 사진 등을 도용해서 접근해 피해자를 속이고 있습니다.
카톡을 보면 친구 등록이 되지 않은 사람이 대화를 걸면 주의 알림이 뜨지만 보통 사람들이 연락 온 사람의 이름만 보기 때문인지 피해가 줄지 않고 있습니다.
사기범들은 급하게 돈이 필요한데 '공인인증서가 안 된다.', '보안카드를 놓고 나왔다.', '비밀번호가 오류나서 보내지지 않는다.', '일일 이체한도 넘었다.' ... 등 이런 식으로 그럴 듯한 이유를 대면서 이체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피해자가 전화하겠다고 하면 '휴대폰이 고장 나서 카톡 밖에 안 된다' 고 하고, 계좌번호는 누구 꺼냐고 물어보면 '지금 내 통장이 안 된다.' , '결제 대금 받는 사람이다.', '병원 관계자다.' 이런 식으로 확인을 피합니다.
이런 피해를 당하지 않으려면 메신저로 돈을 요구하는 경우 어떤 상황이라도 반드시 전화로 본인 및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합니다.
그리고 주소록을 저장한 사이트의 비밀번호 등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개인정보 노출에 유의하는 것도 잊지마세요.
'폴인러브 정책정보 > 사이버 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 안전을 위해 꼭 알아야 할 올바른 카시트 사용법 (0) | 2018.10.30 |
---|---|
9월부터 영유아 카시트 미착용 단속한다고!? (0) | 2018.10.30 |
운전자 사각지대와 사고 예방법 (0) | 2018.10.30 |
알고보면 의미있는 자동차 번호판 (0) | 2018.10.30 |
2018년 3분기 사이버위협 분석보고서 (0) | 2018.10.30 |
모르면 속기 쉬운 메신저 피싱!! (0) | 2018.09.17 |
9월 28일부터 전 좌석 안전띠 착용 필수! (0) | 2018.09.03 |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는 범칙금 vs 과태료" (0) | 2018.08.22 |
보복운전 처벌과 신고방법은? (0) | 2018.08.21 |
과태료고지서 문자알림서비스 신청하세요 (0) | 2018.08.13 |
어린이 차량 갇힘사고 예방법 (0) | 2018.08.06 |